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눈병, 언제까지 전염될까? 등원 기준 & 진단서 꿀팁 총정리

by selfsoso 2025. 6. 12.
반응형
반응형

“눈곱이 계속 나오는데, 어린이집 보내도 되나요?”
“눈병 걸린 아이, 며칠까지 격리해야 하죠?”
“진단서는 꼭 필요할까요?”

아이가 눈병에 걸리면, 단순한 질병보다 ‘전염’과 ‘등원 여부’가 부모에게 훨씬 큰 고민이 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눈병 전염 기간, 어린이집/학교 등원 시기, 필요한 서류까지 실제 현장에서 자주 묻는 질문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아기 눈병 전염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대부분의 바이러스성 결막염(예: 유행성 결막염, 인후결막염)은 다음과 같은 전염력을 갖고 있습니다.

  • 전염 가능 기간: 증상 발생 후 약 7~10일
  • 분비물(눈곱, 눈물 등)이 남아 있는 동안은 전염력 있음
  • 인후결막염의 경우: 열이 내린 후에도 3~5일간 추가 전염 가능성
📌 중요 포인트: 눈병 증상이 거의 사라졌다고 해도, 완전히 회복 전까지는 전염될 수 있어요!

 

 

어린이집 / 유치원 / 학교 등원 기준은?

눈병에 걸린 아이는 전염력이 남아 있는 동안 등원·등교가 제한됩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의사의 소견서 또는 진단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고, 학교는 증상이 사라진 뒤 생활 가능 여부에 따라 보건교사 판단 하에 등교가 가능합니다.

 

기관 등원 가능 시점 기준
어린이집 / 유치원 증상 완전 소실 후 + 의사 소견서 충혈 없음, 눈곱 없음
초등학교 이상 생활 가능 시점 열 없고 일상 가능할 때 (보건교사 판단)

※ 기관마다 기준은 다를 수 있으니, 보건교사나 담임 교사와 사전 확인 필수입니다.

 

실제 학교들은 ‘열이 없고 생활 가능하면 등교 가능’이라고 하지만, 눈이 빨갛거나 눈곱이 계속 나올 경우 전염 가능성 때문에 등교 불가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건교사가 판단하되, 의사의 진단서나 확인서를 지참하면 훨씬 수월하게 등교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서류와 진단서 팁

병원 진료 시 “등원 관련 서류가 필요하다”고 반드시 말해주세요.
기관마다 양식이 다르니, 미리 유치원/학교에 확인 후 병원 방문이 효율적입니다.

 

  • 진단서: 유료, 정식 병명 포함 → 학교 제출용
  • 진료확인서: 무료 또는 저렴, 출석 인정용
  • 등원 확인서: 유치원/어린이집 자체 양식 요구 가능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전염 관리 포인트

  • 아기 눈병은 접촉 전염이므로 수건, 베개, 장난감 공유 금지
  • 전염력은 눈 분비물이 사라질 때까지 유지
  • 가족 내 감염도 흔하므로 손 씻기, 세탁 분리 필수
🏥 내 근처 소아과/안과 찾기

눈병 증상에 따라 소아과 또는 안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지금 바로 가까운 병원을 검색해보세요.

🔍 네이버 지도에서 소아과 찾기

 

 

주말이나 저녁 늦게 갑자기 눈이 빨개진 아기, 병원 가야 할까? 어느 병원이 지금 열었을까?
이럴 때, 굿닥(Goodoc) 하나면 해결됩니다.

 

굿닥 앱 아이콘

📱 굿닥 - 병원 접수/예약 앱

실시간 병원 예약, 대기 확인, 비대면 진료까지 한 번에!

  • 병원 찾기: 내 주변 병원/약국 실시간 확인
  • 대기 없이 접수: 미리 접수하고 진료 순서 알림
  • 비대면 진료: 영상 통화로 집에서 진료

 

 
 

 

 

반응형